♥ 찬양 동영상 ♥ ♥ 찬양 가사 ♥ - 시편 139편 - 나보다 나를 잘 아시는 주님 내가 주를 떠나 어디로 가겠나이까나 어딜 가든지 주의 손이 나를 인도하시며주의 오른손이 나를 붙드시리다 나를 창세 전부터 계획하시고 지금까지 인도하시네 하나님이여 주의 생각이 어찌 그리 보배로우신지요나의 생각보다 나의 뜻보다 더 크고 놀라우신 주님하나님이여 나를 살피사 나의 마음을 다 아시오니나를 영원한 길로 인도하소서 ↓ 악보 링크로 대신합니다링크1 링크2 ↓ PPT 링크로 대신합니다링크1 링크2<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체리 너무맛있다樱桃真好吃yīngtáo zhēn hào chī(잉토 쩐호츠) [단어 공부] 樱桃 - 잉토 (체리/앵두)真好吃 - 쩐호츠(너무맛있다/매우맛있다) [유사한 문장 복습] 생일케익 너무맛있다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제3성 ( ↘↗ )ǎ 꺽는 소리로 발음..<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외할머니 입원하셨다 ㅜ ㅜ姥姥住院了,呜呜Lǎolao zhùyuànle, wū wū(로로 쭈웬러 우우) [단어 공부] 姥姥 - 로로 (외할머니)住院了 - 쭈웬러 (입원했다)呜呜 - 우우 ( ㅜㅜ ) [유사한 문장 복습] 할아버지 안마해 드릴께요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오늘 야유회간다今天去野游了jīntiān qù yě yóule(찐탠 취이 예유러 ) [단어 공부] 今天 - 찐탠(오늘) 去 - 취이 (간다) 野游- 예유 (야유회 ) 了-러(문쟝의 끝에서 보조단어) [유사한 문장 복습] 여보우리여행가요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제..<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나는 여름이 너무싫다我最不喜欢夏天wǒ zuì bù xǐhuān xiàtiā(워 쭤이 뿌시환 쌰탠) [단어 공부] 我 - 워 (나는/저는)最 - 쭤이(제일)不喜欢 -뿌시환 (싫다 )夏天 - 쌰탠 (여름) [유사한 문장 복습] 오늘 너무 덥다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너 엄청 뚱뚱해你很胖Nǐ hěn pàng(니 헌 팡) [단어 공부] 你 - 니 (너/당신)很 - 헌 (매우/아주)胖 - 팡 (뚱뚱하다) [유사한 문장 복습] 너 아주 귀엽다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제3성 ( ↘↗ )ǎ 꺽는 소리로 발음을 할 때 약간 꺾었다가 ..<
♥ 찬양 동영상 ♥ ♥ 찬양 가사 ♥ 넘지 못할 산이 있거든 주님께 맡기세요넘지 못할 파도 있거든 주님께 맡기세요 우리 가야 할 길은 멀고도 험하여허덕이며 가야 하는 우리 인생인데 이럴 때 우린 누굴 의지 하나요 주님 밖엔 없어요나는 그 길 갈 수 없지만 주님이 대신 가요 넘지 못할 분노 있거든 주님께 맡기세요참지 못할 슬픔 있거든 주님께 맡기세요 우리 살아갈 길은 눈물의 골짜기내 힘으론 참지 못해 늘 흐느끼네 이럴 때 우린 누굴 의지 하나요 주님 밖엔 없어요나는 그 길 갈 순 없지만 주님이 대신 가요 ↓ 악보 링크로 대신합니다링크1 링크2 ↓ PPT 링크로 대신합니다링크1 링크2<
♥ 찬양 동영상 ♥ ♥ 찬양 가사 ♥ 목마른 사슴이 시냇물 찾듯나의 주님 이 죄인을 찾으셨도다양을 위해 생명 바친 목자의 수고그 사랑을 잠시라도 잊지 말지라 험산준령 헤매이는 어린양 찾아우리 주님 산 가시에 찔리셨도다양을 위해 생명 바친 목자의 수고그 사랑을 잠시라도 잊지 말지라 양 아흔아홉 마리 그보다 더욱길 잃은 한마리 양 사랑했도다양을 위해 생명 바친 목자의 수고그 사랑을 잠시라도 잊지 말지라 목자는 어린양의 그 소리 알고참다운 목자 음성 양이 알도다양을 위해 생명 바친 목자의 수고그 사랑을 잠시라도 잊지 말지라 어린 목자 내 주 예수 이 몸 붙드사푸른 초장 물가으로 인도합소서양을 위해 생명 바친 목자의 수고그 사랑을 잠시라도 잊지 말지라 ↓ 악보 링크로 대신합니다링크1 링크2 ↓ PPT 링크로 대..<
◈결초보은(結草報恩)◈ 016 (죽어 혼령이 되어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는다) 그날 밤 위과의 꿈에 그 노인이 나타나 이렇게 말했다. "나는 당신 서모의 애비되는 사람으로 그대가 아버지의 유언을 옳은 방향으로 따랐기 때문에 내 딸이 목숨을 유지하고 개가하여 잘 살고 있소. 나는 당신의 그 은혜에 보답(報恩)하고자 한 것이오." 춘추시대 진(晋)나라 위무자(魏武子)에게 젊은 첩이 있었는데 위무자가 병 이 들자 본처의 아들 과(顆)를 불러, "내가 죽거들랑 네 서모를 개가시키도록 하라." 고 하였으나 위무자의 병세가 점점 악화되어 위독한 지경에 이르게 되자 아 들 과에게 다시 분부하기를, "내가 죽으면 네 서모를 반드시 순사(殉死, 남편과 함께 순장시키는 것)케 하라." 라고 명하였다. 그리고 위무자가 죽자..<
005 ◈간장막야(干將莫耶)◈ 〈명검도 사람의 손이 가야 빛나듯, 사람도 교육해서 선도해야 한다〉 "환공(桓公)의 총(蔥), 태공(太公)의 궐(闕), 문왕(文王)의 녹(錄), 장군(莊君)의 홀(忽), 합려(闔閭)의 간장(干將)과 막야(莫耶)와 거궐(鉅闕)과 벽려(璧閭), 이것이 다 옛날의 좋은 칼이다. 그러나 숫돌에 갈지 않으면, 곧 날카롭지 아니하니, 사람의 힘을 얻지 못하면 곧 자르지 못한다" 1955년 중국에서 월왕(越王) 구천(勾踐)의 동검(銅劒)이 출토되었다. 검신(劒身)에 온통 마름모꼴의 무늬가 새겨져 있고, '월왕구천자작자용검(越王勾踐自作自用劒)이라는 아홉 글자가 새 모양의 전서(篆書)로 새겨져 있으며, 칼날 양면에는 남색 유리와 녹송석(綠松石, 터어키돌)이 박혀 있다. 기록에 의하면 오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