同價紅裳(동가홍상)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곧 같은 값이면 품질이 좋은 것을 가진다는 뜻. 同苦同樂(동고동락) 괴로움과 즐거움을 함께함. 東問西答(동문서답) 동쪽가는 길을 문는데 서쪽가는 길을 가르처 줌. 묻는 말에 대하여 아주 딴판인 엉뚱한 대답. 同門受學(동문수학) 한 스승 밑에서 같이 배움. 同病相憐(동병상련)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처지가 비슷한 사람끼리 서로 돕고 위로함. 東奔西走(동분서주) 이리저리로 몹시 바쁘게 다님. 同床異夢(동상이몽) 같은 잠자리에서 다른 꿈을 꿈. 곧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 속으로는 딴 생각을 가진다는 뜻. 杜門不出(두문불출) 자기 집에만 박혀 있으면서 밖(세상)에 나가지 않음. 燈下不明(등하불명) 등잔 밑이 어둡다는 뜻으로. 가까이 있..<
金枝玉葉(금지옥엽) ① 임금의 집안과 자손. ② 귀한 자손. 落落長松(낙락장송) 가지가 축축 길게 늘어지고 키가 큰 소나무. 難攻不落(난공불락) 치기 어려워 함락하지 못함. 亂兄亂弟(난형난제) 형이라 부르기도 어렵고 아우라 부르기도 어렵다. 즉 실력이 비등하여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 老馬之智(노마지지) '늙은 말의 지혜'라는 뜻. ① 노인들의 지혜와 경험이 소중하여 결코 무시할 수 없음. ② 아무리 쓸모 없이 생각되는 사람의 지혜라도 언젠가는 요긴할 때가 있음. 綠陰芳草(녹음방초) 푸른 나무 그늘과 꽃다운 풀. 곧 여름의 자연 경치. 論功行賞(논공행상) 세운 공을 논정하여 상을 줌. 多才多病(다재다병) 재주가 많은 사람은 흔히 몸이 약하며 잔병이 많음. 單刀直入(단도직입) 너절한 허두를 빼고 요점이나 본..<
隔世之感(격세지감) 세대를 뛰어넘은 것 같은 느낌. 다른 세대와 같이 몹시 달라진 느낌. 세월이 많이 지난 것 같은 느낌. 隔靴搔痒(격화소양) 신을 신고 가려운데를 긁는다 함이니 ① 마음으로는 애써 하려하나 실제 효과는 얻지 못한다는 말. ② 답답하여 안타깝다는 말 牽强附會(견강부회) 이론이나 이유 등을 자기편에 유리하도록 끌어 붙힘. 犬馬之勞(견마지로) 개와 말의 노력, 임금이나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노력. 見蚊拔劍(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뺌. 곧 적은 일에 허둥지둥함. 謙讓之德(겸양지덕) 겸손하고 사양하는 미덕. 輕擧妄動(경거망동) 경솔하고 망녕된 행동. 敬而遠之(경이원지) ①겉으로는 공경하는 척하나 속으로는 멀리함. ②존경하기는 하되 가까이 하지는 아나함. 준)敬遠 傾國之色(경국지색) 나라가 ..<
우공이산(愚公移山) 우공(虞公)이 산을 옮겼다는 뜻으로, 정성을 다하면 안 되는 일이 없다는 말임.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귀에 경읽기라는 뜻으로, 옆에서 아무리 얘기해 줘도 느끼지 못하는 것을 말함. 우후죽순(雨後竹筍) 비 온 뒤에 솟는 죽순 같다는 뜻으로, 어떤 일들이 한꺼번에 많이 일어나 는 것을 말함. 원교근공(遠交近攻) 먼 나라와 손을 잡고 가까운 나라를 침. 유비무환(有備無患) 준비가 있으면 걱정이 없다는 뜨스로, 무슨 일이 벌어지기 전에 미리미리 준비해 두면 어려운 일이나 뒷걱정이 없다는 말임. 유유상종(類類相從) 마음이 맞거나 성격 또는 생각하는 것이 같은 사람들끼리 서로서로 모여 서 친구가 된다는 말임. 의심암귀(疑心暗鬼) 의심을 하면 모든 게 수상하다는 말임. 이구동성(異口同聲) 여러 ..<
목불인견(目不忍見) 상황이 몹시 딱하고 처참하여 차마 눈을 뜨고는 볼 수 없음을 이름. 묘항현령(猫項懸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라는 뜻으로, 행도으로 옮길 수도 없는 일들을 쓸데 없이 의논하는 경우를 일컬음. 무릉도원(武陵桃源)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별천지를 뜻하는 것으로, 사람들이 항상 찾 으려고 노력하며 꿈에서도 그리는 살기 좋은 곳을 이름. 무용지용(無用之用) 언뜻 보면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지던 것이 나중에는 오히려 큰 구실을 하 여 매우 중요하게 쓰인다는 뜻임. 문경지교(刎頸之交) 친구를 위해서는 죽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친구 사이를 말함. 문외한(門外漢) 어떤 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전혀 없거나 그 일에 전혀 관계가 없는 사람을 뜻하는 말로, 그 분야를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을..<
간담상조(肝膽相照) 자신의 간과 쓸개를 보여 주듯이, 서로의 속마음을 터놓고 가까이 사귄다는 말로, 매우 가까운 사이를 이름. 건곤일척(乾坤一擲) 하늘과 땅을 단판 승부에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룬다는 점에서 매우 위급한 상황을 뜻함.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룬다는 점에서 매우 위급한 상황을 뜻함. 견물생심(見物生心) 전혀 욕심이 없다가도 직접 눈앞에 있는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긴다는 말임. 결초보은(結草報恩) 은혜를 입은 사람이 죽어 혼령이 되어서도 풀포기를 묶어 놓아 적이 걸려 넘어지게 만들어 위험을 피할 수 있게 해줬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반드시 은혜를 갚는다는 말임. 계명구도(鷄鳴狗盜) 닭이 우는 소리와 개 도둑을 말하는 것으로 보잘 것 없는 재주..<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오늘 친정에간다今天去娘家jīntiān qù niángjiā(찐탠 취이 냥쨔) [단어 공부] 今天 - 찐탠 (오늘)去- 취이 (간다)娘家 - 냥쨔 (친정 ) [유사한 문장 복습] 여보우리여행가요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제3성 ( ↘↗ )ǎ 꺽는 소리로 발음을 할..<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여러분많이드세요大家多吃点吧dàjiā duō chī diǎn ba(따쟈 뚸츠댄 바 ) [단어 공부] 大家 - 따쟈(여러분)多 - 뚸 (많이 )吃点 - 츠덴 (윗사람에게는 "좀드세요" 아랫사람에게는 "좀 먹어라" )吧 - 바 (문장의 마무리) [유사한 문장 복습] 여러분안녕하세요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당신은 기독교인가요?你是基督徒吗? nǐ shì jīdū tú ma?(니쓰 찌뚜투 마? ) [단어 공부] 你是-니쓰 (너는)基督徒- 찌뚜투 (기독교인)吗 -마 (질문 ) [유사한 문장 복습] 당신은 어느나라 사람인가요?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제3성 ( ↘↗ )..<
※ 병음 읽을때는 아래에 있는 사성의 정의를 참고하세요~ [오늘의 중국어 한문장] 당신 여권있나요?你有护照吗?nǐ yǒu hùzhào ma?(니 유 후쪼 마) [단어 공부] 你 - 니 (당신/너)有 - 유 (있다)护照 - 후쪼 (여권)吗 - 마 (의문) [같이 알면 좋은 문장] 너 이름이 뭐니? [사성의 정의] 중국어의 성조는 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넷으로 나눈다. 이 네가지 성조를 사성이라고 한다. 제1성 ( → )ā a 위의 "-" 표시로 나타내는데 같은 음을 지속해서 내면 된다. 높고 평탄하다.예제)妈 (엄마) Mā ( 마 → ) 제2성 ( ↗ )á 올라가는 기호로 나타내는데 한국어에서 "예?(되물을 때)"와 비슷하게 발음한다.급하게 상승한다.예제)麻 (삼) Má ( 마 ↗ ) 제3성 ( ↘↗ )ǎ ..<